회사 일로 상품 진열대 같은 종류의 물품들을 찾고 있었는데, 회사 대표의 위시리스트는 경사도가 있는, 상품을 세워서 보여줄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에 어쩌다보니 찾는 아이템들마다 모양새가 대충 삼각형.

 

 

 

  그러니까 대충 아래 같은 느낌...

 

 

 

 

 

 이런식이라든가...

 

아님 이런식.

 

 

 

 

  다 좋은데, 문제는 빗변의 길이를 알아야 회사 상품인 책, 엽서 등을 진열했을 때 어떠 느낌일 지 알 수 있을텐데 어디에도 빗변 길이는 표시가 안 되어 있다는 점. 에이 몰라, 하고 무시하려던 순간 갑자기 중학교 2학년 때 담임이었던 수학선생님이 말씀이 떠오르는 것이었다.

 

 

 

  "니들은 수학이 사는 데 아무짝에도 쓸모 없을 것 같지? 살아봐라. 필요한 순간이 오나 안 오나."

 

 

 

  초등학교 때는 수학경시반까지 했었는데 중학생이 되자마자 수학은 찍어도 풀어도 100점 만점에  4-50점대, 고등학교 때는 80점 만점에 10점대를 꾸준히 유지해온(?)나에게 수학은 점수 깎아먹는 과목이었다. 산수만 마스터하면 먹고 사는 데는 지장 없다고 생각했고(지금도 솔직히, 그렇기는, 하지만...),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수학이라는 단어는 내 머릿속의 지우개가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왜 홍 선생님의 저 말이 떠올랐는지 모르겠다. 삼각형, 그래 삼각형이 문제였지. 내 머리가 포맷된 것이 아니라면 분명히 내게도 삼각형 두 변의 길이를 알 때, 혹은 끼인각을 알 때 나머지 변 구하는 방법 쯤은 기억의 창고 어디쯤 저장돼 있을 것이었다.

 

 

 

  현재 고등학생들이 이 포스팅을 혹시라도 보게 된다면 나를 비웃을 일일지도 모르겠으나, 나는 결과적으로 기억의 저장고 안에서 수학 공식 하나조차 건져내지 못 했고 심지어 검색을 통해 공식을 알아낸 후에도 싸인, 코싸인, 비율 같은 말들이 낯설어 이런 미ㅓㅏㅈ댜ㅓㄹ;ㅐ댜ㅓ래;ㅑㅓ래더 라고 욕을 해야 했다.

 

 

 

  물론 이걸 몰랐다고 해서 내 삶이 크게 달라지거나, 주변인들에게 멍청이 취급을 당하는 것은 아닐테지만(아마도) 그렇다고는 해도 나는 상당히 참담했다. 예나 지금이나 나는 한 번 외운 건 단박에 까먹기 일쑤, 잊어버리지 않으려면 평생 주기적으로 한 번씩은 무슨 일이든 기억해내려고 애써야 한다는 것이 슬퍼졌다. 그리고 다시 생각나는 선생님의 말.

 

 

 

  <수학이 사는 데 아무짝에도 쓸모 없을 것 같지? 살아봐라. 필요한 순간이 오나 안 오나>

 

 

 

  내가 수학공부를 제대로 안 한 걸 후회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다만 수학 공식을 이런 식으로도 쓸 일이 있을 줄 알았다면, 외우는 방법 말고 다른 공부 방법을 제공받았어야만 했다는 생각이 들었을 뿐이다. 회사에서 진열대 빗변의 길이를 구해야 하는 날이 올 수도 있으며 무조건 외워서 시험 잘 보고 끝낼 생각만 하지 말고, 얘들아, 왜 그런지 생각이라는 걸 좀 해라, 라는 말을 들었어야 했던 건데.

 

 

 

  예나 지금이나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물리가 전체적으로 이해에 초점을 맞춰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지금 나 같은 삼십대 수학 무식이가 증명하듯이, 암기된 공식은 기억 안 나면 끝이다.

 

 

  어제 점심에 제육볶음을 먹은 것을 잊고 오늘 또 제육볶음을 시킨 뒤 요즘 고기가 왜 이리 질리지라고 말하는 슬픈 직장인의 혼잣말 만큼이나 슬픈 일을 겪었다. 흙흙 ㅠㅠ.  아무리 수학을 못 해도 직각삼각형의 빗변 길이를 맞추는 문제는 외운 공식 덕에 틀려본 적이 없었던 평범한 문과 학생이 서른두살이 되어 줄자로 대충 비슷한 사이즈 삼각형을 만들어 미션을 해결했다는 그런 슬프고도 슬픈 이야기.

 

 

 

블로그 이미지

Felis G.

다시 시작된 이야기

,